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에게는 권리가 있다. 그 제품에 대한 소유권은 말할 것도 없고, 고장이나 파손되었을 시에 받을 수 있는 A/S도 기본적인 권리 중의 하나다. 그리고 여기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사용자들에게는 한 가지 권리가 더 추가된다. 버전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을 권리다. 알다시피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 제조사가 아니라 구글이 만들어 공개한 모바일용 운영체제다. 때문에 제조사는 자사의 제품에 맞게 최적화(수정) 작업을 한다. 이렇게 구글이 상위 버전을 발표하고 제조사가 해당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소비자들은 마냥 기다려야만 한다.

불과 얼마 전 있었던 삼성전자 갤럭시S의 2,2버전(이하 프로요) 업데이트 사건이 대표적인 예다. 차일피일 업데이트 시일이 늦춰지는가 싶더니, 막상 업데이트 과정에서는 기존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파일 등이 삭제되는 사례가 발견되면서 이를 수정한 두 번째 업데이트가 부랴부랴 실시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항의가 잇따랐다. 사실 삼성전자의 심정도 이해가 된다. 지금까지 제품만 잘 만들면 되었던 제조사가 스마트폰을 기점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까지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용자는 제조사들의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당연한 권리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큰 산 하나를 넘었을 뿐이다. 모토로라가 사용자와 약속했던 업데이트 일정에 따라, 모토쿼티와 모토글램에도 업데이트를 곧 진행해야 한다. 모토로라는 내년 1분기 안에 모토쿼티와 모토글램에 프로요 업데이트를 진행하겠다고 했으며, 최근 출시한 디파이도 빠른 시일 내에 프로요 업데이트를 한다고 약속한 상태다(모토믹스는 처음 발표 때부터 하드웨어 사양을 이유로 업데이트 명단에서 제외됐다). 거의 같은 제품이기에 모토로라의 발표처럼 내년 1분기 안에는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구글이 프로요 다음 버전인 2.3버전(진저브래드)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사용자들은 끊임 없는 지원을 바란다. 프로요 업데이트를 받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진저브래드 업데이트도 원할 것이 분명하다. 더 큰 문제는 향후 모토로라가 출시하는 안드로이드폰이 진저브래드를 탑재한다면 기존 소비자의 반발감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점이다. 머리로는 아무리 이해한다 해도 ‘그럼 우리는?’이라는 서운함과 소외감이 따라오기 마련이다.
그리고 한가지 더 당혹스러운 소식이 있다. 해외 웹진을 통해 구글이 내년 4월 중에 3.0버전(허니컴)을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확실하지는 않지만 진저브래드 발표회에서 이미 허니컴을 탑재한 태블릿 PC가 공개됐기 때문에 그리 가능성 없는 소식이 아니다. 모토로라 입장에서는 한숨 나오는 이야기다. 프로요 넘어 진저브래드. 그 다음은 허니컴. 이 반복적인 쳇바퀴 돌기는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불과 얼마 전 있었던 삼성전자 갤럭시S의 2,2버전(이하 프로요) 업데이트 사건이 대표적인 예다. 차일피일 업데이트 시일이 늦춰지는가 싶더니, 막상 업데이트 과정에서는 기존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과 파일 등이 삭제되는 사례가 발견되면서 이를 수정한 두 번째 업데이트가 부랴부랴 실시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항의가 잇따랐다. 사실 삼성전자의 심정도 이해가 된다. 지금까지 제품만 잘 만들면 되었던 제조사가 스마트폰을 기점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까지 떠안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용자는 제조사들의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당연한 권리로 생각한다.

모토로이, 드디어 프로요로 갈아입다. 하지만…
국내 첫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기억하는지? 지난 2010년 2월, SKT를 통해 출시한 모토로라 모토로이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하지만 모토로라의 프로요 업데이트 지원은 출시만큼 빠르지 못했다. 지난 5월 구글이 안드로이드 프로요 버전을 발표한 뒤로 올해 안에 업데이트를 지원한다고 밝힌 것이 다였다. 그리고 근 7개월이 지난 12월 21일이 되어서야 모토로이는 프로요라는 새로운 옷을 입을 수 있게 되었다. 참 오래도 걸렸다(모토로이 프로요 업데이트 설명: http://www.mymotorola.co.kr/product/PrdRsdMain.aspx).
하지만 이제 큰 산 하나를 넘었을 뿐이다. 모토로라가 사용자와 약속했던 업데이트 일정에 따라, 모토쿼티와 모토글램에도 업데이트를 곧 진행해야 한다. 모토로라는 내년 1분기 안에 모토쿼티와 모토글램에 프로요 업데이트를 진행하겠다고 했으며, 최근 출시한 디파이도 빠른 시일 내에 프로요 업데이트를 한다고 약속한 상태다(모토믹스는 처음 발표 때부터 하드웨어 사양을 이유로 업데이트 명단에서 제외됐다). 거의 같은 제품이기에 모토로라의 발표처럼 내년 1분기 안에는 적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다. 구글이 프로요 다음 버전인 2.3버전(진저브래드)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사용자들은 끊임 없는 지원을 바란다. 프로요 업데이트를 받은지 얼마 지나지 않아 진저브래드 업데이트도 원할 것이 분명하다. 더 큰 문제는 향후 모토로라가 출시하는 안드로이드폰이 진저브래드를 탑재한다면 기존 소비자의 반발감은 더욱 거세질 것이라는 점이다. 머리로는 아무리 이해한다 해도 ‘그럼 우리는?’이라는 서운함과 소외감이 따라오기 마련이다.
그리고 한가지 더 당혹스러운 소식이 있다. 해외 웹진을 통해 구글이 내년 4월 중에 3.0버전(허니컴)을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확실하지는 않지만 진저브래드 발표회에서 이미 허니컴을 탑재한 태블릿 PC가 공개됐기 때문에 그리 가능성 없는 소식이 아니다. 모토로라 입장에서는 한숨 나오는 이야기다. 프로요 넘어 진저브래드. 그 다음은 허니컴. 이 반복적인 쳇바퀴 돌기는 쉽게 끝나지 않을 전망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